1. RSI (relative strenth Index)
J. Welles Wilder Jr. 에 의해 1978년 그의 기술적 트레이딩 저서에서 소개된 개념이다.
이후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지표가 되었다.
0 - 100의 범위 값을 가지며 30을 기준으로 과매도 구간, 70을 기준으로 과매수 구간 상태로 판단한다.
주가의 상대적 강도를 측정하여, 잠재적 변동성 및 방향성을 예측한다.
2. 계산 방식
14일 동안 각 거래일의 가격 변동을 계산한다.
이 가격 변동이 양수 일경우, 그것은 상승 폭으로 간주되며, 음수일 경우 하락폭으로 간주된다.
RS, Relative Strength 계산
RS = 평균 상승폭/ 평균하락폭
RSI 계산
RSI = 100 - (100/1+RS)
예를들어 14일 동안의 평균 상승폭이 2.33이고 하락폭 1이라면 RSI는 70
RSI = 100 - (100/1+2.33)
14일동안의 평균 상승폭이 1이고 하락폭이 2.33 이라면 RSI는 30이 된다.
RSI = 100 - (100/1+0.43)
3. 적용
간단하다. 30이하에서는 과매도, 70이상에서는 과매수를 판단하면 된다.
주의해야하는 상황
RSI는 상대적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주가의 절대적 변동 폭이 아닌, 상승폭과 하락폭의 상대적 비율과 추세의 지속성에 기반한다.
이로인해 주가의 변동폭과 RSI 의 변동폭이 크게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지표의 왜곡
예를들어 14일 동안 주가가 1$씩 떨어졌다고 가정해보자. 이때의 평균 하락폭은 1$이고 rsi는 0이다. 그런데 15일째에는 2$가 상승했다고 해보자. 4일동안 주가가 14$ 떨어지고 2$상승 했을 뿐이지만 평균 상승폭 2 평균 하락폭 1으로 rsi는 66.7과매수 구간에 근접하게된다.
보합시장
그리고 보합시장에서는 주가의 큰 변동이 없기 때문에 RSI가 중간값 근처에서 크게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위와 같이 단기적 움직임에 따라 RSI값이 크게 변동될 수 있다. 때문에 보합을 탈출하는 징후가 나타날때까지 관망하는 것이좋다.
시장의 환경이나 구조 자체가 변화하는 경우
RSI는 과거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의 강도를 보여줄 뿐, 기술적 분석의 영역을 넘어서 시장과 기업의 환경이나 구조가 변화하는 경우 RSI 시그널이 효과 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렇듯 지표가 왜곡 되는 경우가 있으며 과매수 상황이나 과매도 상황이 반드시 가격의 반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RSI만 독단 적으로 보는 것은 옳지 않고, 조심해 유동적으로 다른 지표와 함께 판단해야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