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바스크립트/기본

자바스크립트 (17) - 저장하기. 로컬스토리지

by monsangter 2022. 11. 9.

이제 밸류 저장을 배운다.

 

유저의 이름이든 뭐든, 뭔가를 저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들어 유튜브에서 우리가 볼륨을 조절하고 새로고침하면 플레이어가 볼륨값을 기억하고 있다.

 

전에도 말했듯이 클래스 네임을 추가하고 삭제하는 등 개발자가 자주하는 작업들은 이미 api가 존재한다.

콘솔에 로컬 스토리지를 입력하면 이미 정의가 되어 있다.

 

개발자 도구에 들어가 화살표모양을 클릭하고 application으로 들어가면 로컬 스토리지를 발견할 수 있다.

 

세션스토리지, 인덱스트 디비, 웹sql,쿠키등도 있는데, 우리는 로컬 스토리지를 다뤄본다. 이 모든것들이 다 정보를 저장할 수 있지만,

그중에 로컬 스토리지가 다루기 가장 쉽다.

 

그냥 작은 디비같은 것이며 키밸류만 있으면된다.

 

아직 로컬 스토리지에 아무것도 없으나,

저장하기 시작하면 생길 것이다.

 

로컬스토리지 api를 mdn에서 보면 많은 메소드가 나오는데,

 

셋, 겟 , 리무브 메소드가 가장 중요하다.

 

-셋

localStorage.setItem(“username”, “nico”)

첫번쨰 인자로는 저장할 장소의 값. 그 다음에는 저장할 값을 넣는다. 콘솔에 입력하고 로컬스토리지를 확인해보면 db에 키값과 밸류값이 저장돼 있다.

 

-겟

localStorage.getItem(“username”)

 

-리무브

localStorage.removeItem(“username”)

 

겟아이템 메소드를 사용했으나 만약 유저네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null값을 반환한다.

 

이것을 이용해 유저이름이 널이라면, 폼이 생성되게 구현할 것이다.

 

const savedUsername = localStorage.getItem(“username”);

만약 널이라면

 

if (savedUsername === null) {

//폼보여주기

} else {

  //그리팅 보여주기.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