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4) - 변수
자스에는 두가지 데이터 타입이 있다. 문자와 숫자.
console.log()는 콘솔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명령어로 괄호 안에 숫자나 문자열, 문자등 넣을 수 있다.
콘솔에 뭔가를 써 넣는 행위 자체가 console.log 명령어로 괄호안을 타입하는 것과 같다 볼 수 있다.
콘솔에 로그. 그니까 출력하는 코드이다.
프로그래머가 되려면 게을러져야 한다.. 코드 작성량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지고,
에러도 적고 시간도 더 줄어 든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게 변수인데, 변수는 값을 저장하거나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const a = 5; 이런식으로 변수를 선언한다.
변수명에 공백이 필요하다면 카멜 표기. myNameIs
파이썬에서는 const 가 필요가 없다. 그냥 변수명 뒤에 값을 넣으면 자동으로 초기화 된다.
자스에서는 변수 앞에 무언가의 신택스를 넣어서 선언해야한다.
사실 자스에서 변수를 만드는 방법엔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const를 사용하는 방법 하나는 let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const 는 변경이 불가능하고 let 은 변경이 가능하다.
가끔 변수값 업뎃이 필요하면 let 으로 아니면 const 로. 선언할때만 신택스를 넣어서 적어주면 된다.
바보같은 규칙이라고 생각할 수도있는데 진짜 절대 바뀌면 안되는 변수가 필요한 상황이 있다.
const변수에 새로운 값 초기화하려하면 콘솔에서 에러가 뜬다.
사실 대부분의 프로그래머가 디폴트로 const를 쓰고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싶은 변수에만 let을 쓴다.
자바스크립트는 10일만에 만들어졋기 때문에 업데이트가 많이 이루어졌는데,
여러버전으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여러 문법들이 나와있다. 지원안한다고 사이트들 다 다운시키면 안되기 때문임.
옛날에는 const let 이 없었고 var 만이 있었다 .
지금도 사용가능한데 var은 어디서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하지만 var 은 값을 업데이트 해도 언어가 말을해주지가 않는 문제가 있다.
var 은 오래된거라 용도가 불분명하기 떄문에 그냥 새로운 let 과 const를 쓰자.
참고
디지탈 노마드 니꼴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