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바스크립트23

자바스크립트(11) - 엘리먼트 탐색. document.getElementById로 어떤 엘리먼트든 아이디로 가져올 수 있고 항목을 변경할 수도 있다. Grab me! Grab me! Grab me! 하지만 모든경우에 id를 사용하는 것은 아님. 보통 classname을 사용하거나 둘다 사용함. class name 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음. const hellos =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hello") 다만 같은 클래스네임을 가진 것이 여러개 있을 수 있는데, 이때는 배열로 반환됨. 또 아이디에서 했던 것 처럼 hellos.~~ 같은 객체사용이 안됨.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hello") 객체가 아닌 배열이기 때문임. hellos = document.getElements.. 2022. 11. 5.
자바스크립트 (10) - HTML코드와 엘리먼트 자바스크립트 객체 자바스크립트가 정보를 html 에서 가져오는 방식은 document 객체와, element 를 가져오는 수많은 함수를 이용하는 것임. grab me! document.getElementById("title") id의 인수는 string 형이여야 한다. result grab me! h1태그를 반환한다. 콘솔이 아닌 vs에서 해보자. const title = document.getElementById("title") console.dir(title) title을 객체명으로 h1태그에서 수많은 프로퍼티들을 가져 온다.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 정보들을 읽어올 수 있다. outher html, text. localname, inner html,innertext, id, hidden 나중에 공부해야될 프로퍼티들 .. 2022. 11. 4.
자바스크립트 (9) - js와 html의관계. document 객체 이제 프로그래밍 기초를 뒤로하고 자스와 html 이 서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본다. 파이썬도 function object arrays if -else 등 다 있고 생긴것 만 다르다. 이번엔 브라우저에 초점을 맞춰보자. 자스가 브라우저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html 은 접착제 같은 거다. html이 css와 js를 가져오니까 . 자스를 쓰는 이유는 html을 반응형으로 만들기 위해서. html은 엘리멘트들을 자스를 통해 변경하고 읽을 수 있다. 콘솔에 document 를 입력하면html 코드들이 표시된다. 이미 브라우저에 html을 가리키는 객체로 존재하는 오브젝트이기 때문에 콘솔에 입력하면 표시되는거다. console.dir(document)를 해보면 document 는 그냥 object 일 뿐이다. .. 2022. 11. 4.
자바스크립트 (8) - 리턴과 조건문 if (condition) { console.log(“please write a number”) } else { }​ if (condition) { console.log(“please write a number”) } else { } 콘솔로그를 너무 남용하면 안된다. 콘솔로그란 무엇인가? 콘솔에 무언가를 로그하는 것이다( 기록하여 보여줌) 콘솔로그는 콘솔에 결과 표시는 해주는데, 값을 리턴해준다거나, 무언가를 변경한다거나 데이터를 반환해주는 건 아니다. 사용자가 투두리스트에 입력을한다면 배열에 넣어주는 일. 즉 데이터를 얻어서 데이터로 무언가를해 반환해주는 일을 하고 싶은데, 콘솔로그 만으로는 안된다. div : function (a,b) { console.log(a/b) } 콘솔로그는 콘솔 에 출력이 .. 2022. 11. 4.